예제 풀이 例解:
左輔在夫妻或在財帛。假使你還沒結婚,或想開始去投資或賺錢,往往都會有感不知好不好……而去請益別人。如果別人說好,剛好肯定了你心中的好,結果就去嫁(娶)了,或投資去了。若是否定,說不好,與你心想的不同,所得結果就是猶疑,不知如何是好。甚至再去找更多人的答案,看誰站在我這邊。這能站在我這邊說話的人,說不定能成為你心儀的人。(這種解釋.引論出輔的內心是'無實'的,沒有''信心''的,沒有''安全感''的,像浮萍.想靠岸.但又靠不牢.於室內心更空虛,更無助,因此他們在找 依''我''的伴,順''我''的人),你想可能嗎?
좌보가 부처 혹은 재백에 있다. 가령 당신이 결혼하지 않았거나 혹은 투자를 하거나 돈을 벌려고 생각할 때 종종 좋을지 나쁠지 모르는 느낌이 있으며, 따라서 다른 사람에게 가르침을 바라는 것이다. 만일 다른 사람이 좋게 말하고 마침 당신 마음으로도 좋다고 인정하면 결과는 장가를 들거나 시집을 가거나 혹은 투자를 할 것이다. 만일 부정을 해서, 좋지 않다고 말하면 마음에서 생각하는 것과 다르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의심을 하게 되므로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는 것이다. 심지어 다시 여러 사람의 답안을 구하게 되고 누가 내가 있는 이 옆에 있는가를 살핀다. 이렇게 능히 내가 있는 주변에 서서 말하는 사람이 당신 마음에 드는 사람이 되리라고는 말할 수 없다.(이러한 해석은, 도와주려는 내심을 억지로 꺼내서 말하는 것은 ‘알맹이’가 없으며 ‘믿음’이 없고 ‘안전감’이 없어서 마치 부평초와 같이 기슭에 닿으려 하지만, 그러나 또 제대로 되지 않으며 실내에서는 마음이 더욱 공허하고 더욱 도움이 없으며, 따라서 그들은 내 반려자를 찾아 의지하고 내 사람을 따른다), 당신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가?
再來,當你真的去結婚,去投資。結果未必如你未結婚或未投資前,那麼想像中的好。你就開始懷疑自己的眼光,甚至看到對方或工作,產生無法溝通……等等的''平等''對待,於是厭惡的情就出現在眼簾裡。為什麼會這樣呢?
거듭해서 당신이 정말 결혼하고 투자하면 결과는 반드시 당신이 결혼하기 전이나 혹은 투자하기 전과 같지 않으며 그러한 것은 상상 중에서나 가능하다. 당신이 자신의 눈빛에 회의를 갖기 시작하고 심지어 짝궁이나 혹은 직업을 보게 되면 소통할 방법이 없는 등의 일이 생겨나고, ‘평등’하게 대우하면, 이로부터 혐오스러운 감정이 시야에 출현하는 것이다. 어째서 이러한가?
<1>左輔的特質,就是「有我」,只講他看法的「立場」主軸為出發點,站在他
同一立場的人,他就會認為是好人。若站在他不同立場而說話或反駁,他的
心就生不悅,甚至會抱怨沒有人能夠了解我。故左輔遇左輔的人,崇拜偶像
就這樣產生,認為這才是知音,若把這知音變成家人,始知非佳人也。
開始相互抱怨…
좌보의 특질은 「내가 있다는」 것이며, 단지 말하는 것은, 그가 보는 방법의 「입장」을 주축으로 해서 출발점을 삼고 그와 같은 입장에 선 사람은 그가 좋은 사람으로 여기게 되는 것이다. 만일 그와 다른 입장에 서서 말하거나 혹은 반박하면 그의 마음은 기쁘지 않을 것이고 심지어 원한을 품어서 아무도 능히 나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좌보가 좌보인 사람을 만나면 숭배하는 우상은 이렇게 만들어지고 이것이 바로 참된 친구라 여기지만 만일 이 참된 친구가 가인家人으로 바뀐다면 비로소 좋은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2>左輔很難聽得進----「良心的建議」。因為他喜歡自導自演,活在與他能夠
共鳴的「夢幻」聲浪中,再掩飾自己內心空虛,無助,無自信的生活。若有
人真的活得很快樂(左輔星),那是強顏博得一笑,絕非此人內心之境。
좌보는 「양심적 건의」를 계속 듣고 있기 어렵다. 그는 스스로 인도하고 스스로 연출하기 좋아하며, 다른 이들과 능히 공명할 수 있는 「몽환」의 목소리 중에서 살아가며 다시 자기 내심의 공허나 도움이 없고 자신이 없는 생활을 숨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참으로 아주 유쾌하게 즐기면서 산다면(좌보성), 이는 굳은 표정으로 억지웃음을 한번 웃어주는 것이며 절대 그 사람 내심의 경지가 아니다.
역주) 좌보의 이러한 점은 태음인太陰人의 심성과 비슷하다.
從上述的命例,獲知左輔就是這樣的性質,你對左輔還會有嗎? 若你真對左輔的認知,而對萬事萬物開始不再抱怨或嘮叨。「見性」的功夫就離你不遠了。壇經有言:「善知識,於諸境上心不染曰無念,於自念上常離諸境,不於境上生」心。
위에서 서술한 명례에 따라 좌보가 이러한 성질임을 알면 당신은 좌보에 대해 원한을 품는가? 만일 당신이 참으로 좌보에 대해 인지한다면, 만사만물에 대해 다시 원한을 품거나 혹은 시끄럽게 떠들지 않기 시작할 것이다. 「견성見性」하는 공부는 당신에게서 그리 멀지 않다. 육조단경에서 말하기를: 선한 지식, 여러 경계 위에서 마음이 물들지 않음을 일러 무념無念이라 하고, 자기 상념常念에서 여러 경계를 떠나고, 경계 위에 마음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心念有正念、邪念;染念,淨念之分。
심념에는 정념, 사념이 있고, 게다가 오염된 상념과 깨끗한 상념의 구별이 있다.
所謂正邪,是以利害來區分。
凡是利人之念為正念。(利人曰善)
凡是害人之念為邪念。(損人曰惡)
소위 올바름과 사악함은 이해利害로써 구분한다.
무릇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는 상념이 정념이다(다른 사람을 이롭게 함을 일러 선이라 한다).
무른 다른 사람을 해치는 상념이 사념이다(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주는 것을 일러 악이라 한다).
所謂染淨,是以執與不執來區分。
凡是有迷執之念為染念。(住相曰染)
凡是無迷執之念為淨念。(無住曰淨)
소위 오염되고 깨끗함은 집착과 불집착으로 구분한다.
무릇 미혹에 집착하는 상념이 오염된 상념이다(주상住相을 일러 오염이라 함)
무릇 미혹에 집착하지 않는 상념이 정념이다(무주無住를 일러 깨끗함이라 함)
역주) 주상住相: 몽환세계
佛法的精神是活活潑潑,生機充沛的。
불법의 정신은 활활발발하게 생기生機가 충만한 것이다.
佛法的要求是---不可執邪念,亦不可執正念,(如施捨莫望回報)需超脫一切心念的執著,而達絕對超然之境。但一般人很難做到,不妨先擇善固執。用正念來以統一各種雜念,妄念,並掃除各種邪念,(如害人之心不可有)。像念佛,念咒,念四弘誓願,念經,等到正念純熟後,再捨棄正念而達到超絕之境。
불법의 요구는, 사념에 집착할 수 없고 역시 정념에도 집착할 수 없다(가령 보시를 베푸는 것에 보답을 바라지 마라). 반드시 일체 신념의 집착을 넘어 벗어나서 절대 초연한 경지에 도달하라. 그러나 일반인은 아주 하기 어려우니 착함을 선택하여 고집하지 마라. 정념을 써서 각종 잡념, 망념을 통일하고 아울러 각종 사념을 청소하라(가령 다른 사람을 해치는 마음을 가지지 마라). 염불, 염주, 염 사홍서원(4가지 큰 맹세), 염경 등으로 정념에 이르는 것을 올바로 익힌 후 다시 정념도 버리고 절대 초월의 경지에 이르라.
心念是意志的表現,強烈的意志力表現為強念的念力。密宗常以金剛來比喻心念的堅固。一個人要想成就世間法或出世法,強烈的心念力是不可缺的。(換作修行人,指著是願力與菩提心)。
심념은 의지의 표현이며 강렬한 의지력의 표현이 강한 심념의 염력이다. 밀종에서는 늘 금강(다이아몬드)읓로써 심념의 견고함을 비유한다. 일개인은 세간의 법 혹은 출세법을 성취하려 하며, 강렬한 심념의 힘이 없어서는 안 된다(수행인으로 바꾸면 원력과 보리심을 가리킨다).
※願力→左輔. 菩提心→文曲. 九.六乾坤定位.
※원하는 힘(원력願力)→좌보. 보리심菩提心→문곡. 9. 6건곤정위乾坤定位.
역주)원력願力 : 마음이 원하는 것을 만들어내는 힘
業力無邊;願力無盡 업력은 닿지 않는 곳이 없고, 원력은 끝마침이 없다.
역주) 보리심菩提心이 발한 사람은 아래 4가지 마음을 갖추어야 한다:
대지심大智心 : 아상我相에 집착하지 않는다。
대원삼大願心:선행善行을 널리 수행한다。
대비심大悲心:주생眾生의 고통을 구한다。
대애지심大愛之心:마음에 선념善念을 보존한다。
古今中外的偉人之所以能成就偉大的事業,關鍵即在於他們有強固的意志力與念力,可見心念對人生事業的重要性。但是心念之強,一方面也表示其執著之深。執著必帶來或多或少的痛苦,這是不可避免的因果。(中外偉人皆如是)痛苦若對社會人類有意義,也就不妨忍受,那麼你的心念更要堅持。問題是有些痛苦並沒有什麼意義,那麼心念也不值得堅持。例有一個密宗的人,發了二十年的功夫,練成一種吐火功,能從嘴巴吐火來把木柴燒掉,其功能與打火機並無兩樣,這種意念就不值得堅持。
고금 중외의 위인이 능히 위대한 사업을 성취한 관건은 즉 그들의 강고한 의지력과 염력에 있으며 인생 사업에 대한 심념心念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심념이 강하면 일 방면에서는 그 집착의 깊이를 표시한다. 집착하는 마음에는 반드시 따라오는 혹은 크고 혹은 작은 고통이 있으며 이것은 피할 수 없는 인과이다. 문제는 이 고통이 어떤 의의도 없으며 그러한 심념도 지탱해야 할 가치가 없다. 예를 들어 일개 밀종密宗인 사람이 20년의 쿵푸功夫를 발달하여 일종의 불을 뿜는 공력을 연마하여 달성하고 능히 입으로 불을 뿜어 나무를 불태우더라도 그 효과가 화염방사기와는 비교가 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의념은 견지할 가치가 없는 것이다.
※左輔與意念有關,是隨意念之後所產生的行為。反過來說,行為來自意念的背後做作,在佛家稱他為業力。在哲學家稱他為力線哲學。宇宙物理的自然律下有向心力與離心力。同樣斗數的向心力與離心力就是力線哲學。它的每一個動作,都無形中牽絆著每一個人的意念與行為,是人無法以抗拒的,故曰:「業力大,人難當」。孔子曰:「天命」。
좌보와 의념은 유관하며 이는 의념을 따른 후에 만들어지는 행위이다. 뒤집어 말해서, 행위가 의념의 배후에서 만들어지며, 불가에서는 이를 칭하여 업력業力이라고 한다. 철학가들은 이를 칭하려 역선力線 철학이라고 한다. 우주물리의 자연규율 아래에서 향심력과 이심력이 있다. 마찬가지로 두수의 향심력과 이심력이 역선철학이다. 그것의 매 일개 동작은 모두 무형 중에서 매 일개인의 의념과 행위를 끌어당기며 이는 사람이 항거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르기를: 업력은 크고 사람은 당해내기 어렵다. 공자 가라사대: 천명天命이라.
※佛祖所說的「業力」˙是宏觀宇宙論的。
指的就是「這個」。(力道哲學)
붓다가 말한 「업력業力」은 거시巨視 우주론인 것이다。
가리키는 것이 「이것」이다(역도철학).
Now as a man is like this or like that,
according as he acts and according as he behaves, so will he be;
a man of good acts will become good, a man of bad acts, bad;
he becomes pure by pure deeds, bad by bad deeds;
And here they say that a person consists of desires,
and as is his desire, so is his will;
and as is his will, so is his deed;
and whatever deed he does, that he will reap.
— Brihadaranyaka Upanishad, 7th century BCE
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 爲天下谿, 常德不離, 復歸於嬰兒. 知其白, 守其黑, 爲天下式. 爲天下式, 常德不忒, 復歸於無極. 知其榮, 守其辱, 爲天下谷. 爲天下谷, 常德乃足, 復歸於樸. 樸散則爲器. 聖人用之, 則爲官長, 故大制不割.
그 수컷을 알고 그 암컷을 지켜서 천하의 사타구니로 삼는다. 천하가 사타구니가 되면, 마음 씀이 항상 떨어지지 않으니, 갓난아이로 돌아간다. 밝으면 알아보고 어두우면 가만히 지킴을 천하의 법칙으로 삼는다. 천하의 법칙이면 마음 씀이 항상 변하지 않아서 (낮과 밤이) 분리되지 않는 세계로 돌아간다. 그 영예로움을 알고 그 욕됨을 지켜 천하의 얼골로 삼고, 천하의 얼골이 되면 마음 씀이 항상 넉넉하여 (원시 그대로의) 통나무로 돌아간다. 통나무를 쪼개 그릇이 되면 성인은 쓰는 것이니 곧 우두머리가 되며, 따라서 크게 다스림에는 쪼갬이 없다.
무위자연無爲自然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저절로 그렇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