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온오법신五蘊五法身
- 인언引言 Introduction
역주) 오온은 색온(色蘊: 몸·물질 무더기) · 수온(受蘊: 지각·느낌 무더기) · 상온(想蘊: 생각·개념화 무더기) · 행온(行蘊: 욕구·의지 무더기) · 식온(識蘊: 마음·의식 무더기)을 말하며 자아自我를 구성하는 성분이라 할 수 있다.
오온에 대한 집착과 갈망을 끊어야 고苦가 소멸되고 무아無我에 이른다.
보필창곡이 화化하는 천간은 다섯 가지이다.
해설)
색온色蘊⟹ 문곡(기己천간) physical. material
수온受蘊⟹ 창곡(신辛천간) perception. sensation
상온想蘊⟹ 문창(병丙천간) imagination. representation
행온行蘊⟹ 좌보(임壬천간) desire. will
식온識蘊⟹ 우필(무戊천간) analysis. judgement
다시 말해서
기년생은 색色 덩어리로서 문곡화기는 색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한다.
신년생은 수受 덩어리로서 창곡의 사화는 느낌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한다.
병년생은 상想 덩어리로서 문창화과는 개념화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한다.
임년생은 행行 덩어리로서 좌보화과는 행동의 욕구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한다.
무년생은 식識 덩어리로서 우필화과는 전체적 분석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한다.
「身」是己身,「體」是己身之本體 → 法身而言
「신身」은 자기 몸이고 「체體」는 자기 몸의 본체이다. ⟹ 법신法身이라 한다.
「性」我們的身心的內在,在紫微斗數中的(左右昌曲)五個天干是「身心」內在的活化轉化機能。能「明心」「見性」者為證佛之「法身」→(自性佛)
「성性」은 우리들 심신에 내재하며 자미두수 중의 (좌우창곡이 化하는) 다섯 개 천간은 「몸과 마음」에 내재하는 활성화 바꿈 기능이다. 능히 「마음을 밝히고」 「본성을 보는」자가 붓다를 증거하는 「법신」⟹ 자성불, 즉 스스로 본성이 붓다이다.
學習自我人生在於「見性」,性由何見?在習行之前潛在的「智慧」顯現,然以心經為修學(行)之首要,故借心經之五蘊而緣起。
자아 인생을 「본성을 봄」에서 학습하면 본성은 어디에서 나타나는가? 학습을 행하기 전 잠재하는 「지혜」가 드러나며 그러면 심경心經(마음의 경전)은 수학(수행)에서 가장 중요하며, 따라서 반야심경의 오온을 빌려 연기緣起(서로 인연이 되어 생겨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