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오온 오법신五蘊五法身(21) 좌보가 해탈하는 길左輔的解脫之道④

hmchnzami7pabur 2024. 7. 12. 09:50

左輔是九數故要反觀

좌보는 9수이며 따라서 돌이켜보아야 한다.

 

人生的定位<>˙<>˙

인생의 정위는 96에 있다.

 

它與這三顆星所互動的因緣果報絕對不相同

그것과 이 3과성은 호동互動하는 인과 응보로써 절대 서로 같지 않다.

풀이:

 

˙()在子女.文曲化忌入命愛護子女.養育子女.就是她人生最樂見的一件事.

也是此人.在人生上必走的一條路是要用心路旅程走完它

()가 자녀에 있고. 문곡화기가 입명하므로자녀를 애호愛護하고 자녀를 양육養育하며. 이것이 그녀 인생에서 가장 즐거이 보는 한 건의 일이다.

게다가 이 사람은 인생 상에서 반드시 가야할 하나의 길은바로 심로여정心路旅程을 써서 이를 완주走完해야 할 것이다

 

˙但巧的是<>天乾又在文曲忌之位置上這是說在養育子女的旅程上

多了一個交叉點則看左輔在哪裡?剛好在迂移.所以又要帶子女.往國外而""

˙하지만 공교롭게도<>천간에는 또 문곡기文曲忌가 위치하며이는 말하자면자녀 양육 여정旅程 여러 교차점에서 곧 좌보左輔를 어디에서 볼 수 있나? 마침 천이迂移에 있으며. 따라서 또한 자녀를 대동하고 국외國外로 가서 거주""한다.

 

˙壬天干在''''故帶子女出國住於外更顯得她對子女的一切行為與付

都出於本衷且是無怨無悔的.<壬在命>

임천간은 ''''에 있으며따라서 자녀를 데리고 출국하며외지에 거주하고더욱이 그녀가 자녀의 일체 행위와 지출에 대하여모두 본심에서 나옴을 깨달았으며게다가 이는 원망도 후회도 없는 것이다.<이 명에 있음>

 

˙若法生年忌.在財<>賺錢養子女.<>老來子女養.(入命)

만일 생년기를 법상하면 재백에 있으므로<>돈을 벌어 자녀를 양육.<>늙어서까지 자녀를 양육.(입명入命)

 

˙若法生年科.在疾.此謂子母情深.為母無悔為子女付出.

만일 생년과生年科를 법상하면 질액에 있고. 이를 일러 자모子母의 정이 깊다고 해서. 모친이 후회없이 자녀를 위해 지출한다.

 

道場在迂移壬天干要承受.因為這是''''''''.若換作夫妻或''''''''.則左輔要承受壬天干.如子女奉養父母有的命例是壬分開的其解先個別分開在統而歸納解

도장道場(좌보)은 천이迂移에 있고임천간壬天干이 이어받아야 하는데. 이는 이것을 ''''''''로 풀이하기 때문이며. 만일 부처夫妻로 바꾸거나 혹은 ''''''''이면 곧 좌보左輔가 임천간壬天干을 이어 받아. 가령 자녀가 부모를 봉양奉養한다어떤 명례命例이것이 임으로 나뉜다.그 풀이는 우선 개별個別 분해分開이고다시 통합해서 귀납으로 푼다

                                                        을년생 여명

 

풀이:

 

()在官與迂化忌入父母代表人必要有自己的工作(事業)且事業是上班的

(父母宮).有帶外勤性質(迂移宮)換言之這就是她人生必然的道路

()가 관록과 천이에 있고화기化忌는 부모에 들어가사람이 자기의 직업(사업)이 있어야 함을 대표하며게다가 사업은 샐러리맨이다(부모궁). 외근하는 성질도 띠며(천이궁)바꾸어 말하면 그녀 인생의 필연적 길이다

역주) 부모궁은 윗사람을 대표하며, 따라서 윗사람 밑에서 일하는 직장인임을 대표한다.

 

()天干在子女左輔化科在財帛道場在財帛賺錢就是她的道場

所為何事?為了這些子女及家庭(壬同時化祿入田宅)

() 천간은 자녀에 있고좌보화과는 재백에 있으므로도장道場(수련장)은 재백에 있으며돈을 버는 것이 그녀의 도장道場인데무엇을 위한 일인가?

이들 자녀 및 가정을 위한 것이다(은 동시에 화록이 전택에 들어간다)

 

綜觀:()的文曲忌.法生年忌.是太陰.故 此人要工作.(星辰女性)

工作性質是服務業.(兄弟宮)

종합적 관찰: ()의 문곡기文曲忌는 생년기를 법상하면 태음太陰이다.따라서 이 사람은 직업이 있어야 한다.(별이 여성女性이므로 본인을 나타냄)

직업의 성질은 서비스업.(형제궁)

 

()天干是子女由上對下家計都是由此女在負擔.<本身蜃蛇>

() 천간은 자녀여서로부터 아래를 대하므로가계家計를 모두 이 자녀가 부담한다.<부모 본신本身은 용과 뱀(과 사)이다>

역주)진궁辰宮은 부모궁의 대궁이고 사궁巳宮은 형제궁(모친궁)과 암합이다.

 

<>佛教的目的在於見性」。

性由何見?在習行般若波羅密多」。(九返用六.六度萬行)

然以心經為修行首要

불교의 목적은 견성見性에 있다

은 어떻게 어디로부터 보는가?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密多를 익혀서 행함에 있다(9는 돌이켜 6을 용으로 한다. 6六度는 모든 것을 행한 다) 그래서 심경心經이 수행修行에서 가장 중요하다

역주)6: 상하전후좌우를 말한다.

역주)반야바라밀다: 반야는 모든 법의 자성이 비어 있는 것, 즉 공함을 보고 사물의 실상을 직관하는 지혜를 말하며, 일체의 분별을 떠날 수 있으므로 무분별지(無分別智)라고도 한다. 그리고 바라밀다는 피안에 이르는 길, 또는 피안에 든 상태를 말한다. 즉, 수행의 궁극적인 것, 완성의 의미를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 반야바라밀다는 지혜가 피안에 도달한 것, 지혜의 완성을 뜻한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일체의 분별망념을 멸하여 피안에 도달하는 것

역주)심경: 반야심경을 말한다. 완전한 명칭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

凡是人居左輔運時或是煩惱的宮位正是左輔之位時或遇諸事不順時(指與左輔有關)多些時間背誦心經或書寫心經三個星期下來自有助力於你但心要無求心……在你書寫時專注經文此時都不能受任何人或聲音的干擾般若經部六百餘卷為心經及般若部綱領亦是般若經部的心

무릇 사람이 좌보左輔에 거할 때혹시 번뇌하는 궁위가 바로 좌보左輔의 궁위일 때혹은 만나는 모든 일이 불순할 때(좌보와 유관함을 가리킴)많은 시간에심경心經을 낭송하거나 혹은 심경心經을 글로 쓰면3주가 지나서스스로 돕는 힘이 당신에게 있지만단 마음에 추구하는 것이 없어야 하며……책을 쓸 때는 경문經文에 전적으로 몰입해야 하고이때이 때 누가 간섭하거나 들리는 소리가 없어야 한다반야경부般若經部6백여권이며심경心經 및 반야부 강령이 역시 반야경부의 핵심이다

 

心 經

a.若從來觀心經宇宙真實的綱領

<實相> <實在論> [理體]

a.만일 로부터 심경心經을 보면이는 우주진실宇宙真實의 강령이다

<실상實相> <실재론實在論> [이체理體]

 

b.若從來觀心經宇宙緣起的要旨

<現象> <存在論> [理體中有用]

b.만일 로부터 심경心經을 보면이는 우주연기宇宙緣起의 요지이다

<현상現象> <존재론存在論> [이체理體 중에 용이 있다]

 

c.若從不二法門來觀心經心真如」。

為一法界大總相法門體[用中有理體]

c.만일 불이不二법문法門으로 심경心經을 보면심진여心真如이다

일법계一法界 대총상 법문相法門의 체이다[중에 이체理體가 있음]

 

역주)여기서 '심진여(心眞如)'라고 한 것은 만법이 일심으로 포섭됨을 보인 것이다. 마음을 떠난 법이 없고 일체제법이 마음으로 귀일하므로 '진여'는 곧 '심진여'인 것이다. 심진여가 바로 일법계라는 것은 진여문이 의지하고 있는 체가 일법계라는 것이고, 일법계란 다름 아닌 일심이다. 일법계의 일() 역시 전체로서의 하나, 무차별상으로서의 하나를 가리키는 것이다. 법계란 일체의 현상/사물인 동시에 그것들을 투사하는 마음이므로 진여이며, 일심인 것이다. 따라서 심진여=일심=일법계이다.(대승신기론)

 

不墮有無無名可名無相可相畢竟平等無可變異不可破壞唯是一心

유무有無로 빠지지 않으면무명無名도 명이고무상無相도 상이므로필경 평등하며는 변이變異될 수 있으나파괴될 수는 없으며오로지 일심一心이다

 

:

 

左輔的個性是無從瞭解地要了解左輔的性要學達摩面壁九年<引喻>得一個安心人左輔所言之語真是不墮有無八卦任他翻任他變真是老子之徒:道可道非常道」,不知所云而他卻持之有理」。錯是別人對的總是自己但與左輔相處的人卻願讓他逍遙法外人間內是謂無始無明」,最好的比喻

좌보左輔의 개성은(무언가) 쫓아서 이해할 바가 없으므로좌보左輔의 성을 이해하여야 한다달마達摩9년 면벽한 것을 배워야비로소 마음이 편안한 사람에 <비유引喻>할 수 있다좌보左輔를 말로 하자면참으로 유무有無에 빠지지 않고팔괘八卦가 뒤집히도록 놔두고그것이 변하게 두고참으로 노자老子를 따라야 한다:는 도이나일상의 도가 아니다」,말하는 것을 알지 못해도그러나 그것에 이치가 있음有理을 붙들어야 한다잘못이 다른 사람에게 있어도하는 것은 결국 자기自己이지만단 좌보左輔와 서로 같이 지내는 사람은오히려 그들을 법외法外에 노닐게 하며인간人間 안에서이를 일러 시작도 없고 밝음도 없다無始無明하며이것이 가장 좋은 비유이다

 

역주)무시무명無始無明: 시작을 알 수 없을 만큼 한없이 먼 과거부터 이어져 온 번뇌.

 

說到這個壬天干真有它的特質<壬水>

말이 이 임천간에 이르면 참으로 그것의 특질이 있다.<임수壬水>

 

在第一段講的是住相」,眾生皆如是

<正面的> (P.28~P.43)

첫째 단락에서 말하는 것은 주상住相이며중생은 모두 이와 같다

<정면적正面的>

 

在第二段講的是見性」。眾生皆可修

<反面的> (觀照法)'''’

둘째 단락에서 말하는 것은 견성見性이다중생이 모두 수련할 수 있다

<반면적反面的> (관조법觀照法)''''에 비춘다.

 

불교에서 있는 것은:

法相宗<1>˙它是在說明---宇宙緣起」,是站在的立場在說

故左輔大部分都在講有的現象界以見為是做生活憑據.

법상종法相宗<1>그것의 설명은---우주연기宇宙緣起의 입장에 서서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좌보左輔는 대부분 유적有的현상계現象界를 말하며으로써 생활의 근거로 삼는다.

 

法性宗<2>˙它是在說明---宇宙真實」,是站在的角度在說

故很難謂左輔所信服所以說,「見性成佛」,本非易事

除非眾生肯精進

孟子的盡性」,是以法性而勤盡之[P.20] (本源法性)

법성종法性宗<2>그것의 설명은---우주진실宇宙真實」,이는 의 각도에 서서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좌보를 설득되도록 말하기 매우 어렵다따라서 말하는 것은,「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것이며본래 쉬운 일이 아니다

중생이 아니어야 정진精進할 수 있다

뱅자孟子진성盡性이며이는 법성法性으로써 근면함을 다해야 한다[P.20] (본원법성本源法性)

 

만일 법상法相과 법성法性을 절개하면. 그림과 같다:

 

 

天台宗.又稱法華宗

천태종天台宗은 달리 법화종法華宗이라 칭한다

 

역주)일념삼천(一念三千)은 천태종(天台宗)의 중요한 교의 중 하니이다. 범부(凡夫)가 실제로 갖는 미망(迷妄)의 일념 속에 우주의 모든 사상(事象)이 갖춰져 있음을 말한다.

 

斗數的四化.其根據在天台的四化儀教 <或稱四教儀> <或說四化儀>

두수의 사화는 그 근거가 천태天台의 사화교의四化儀教에 있으며 <혹은 사교의四教儀라 칭하거나> <혹은 사화의四化儀라 말한다>

 

秘儀是依止於此義而命名」。

비의秘儀는 이러한 의의意義에 의지하여 명명命名한 것이다